우리는 모두 동일한 인터넷 요금을 지불하며 사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지역 혹은 건물 특성에 따라 인터넷 속도는 천차만별인 경우가 존재하는데요. 이런 경우 대칭형, 비대칭형 차이에 의한 속도 저하 문제이거나, 회선 상의 문제, 기기의 고장 등으로 차이가 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자 각 통신사는 인터넷 속도별 최저 보장 속도를 관리하고 있지만, 까다로운 규제로 실제 보상을 받으신 경우는 들어보진 못한 것 같습니다. 하지만 기준이라고 알고 있으면 문제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확률이라도 올라가기 때문에, 이번 포스팅을 통해 최소한의 소비자로서의 권리를 누리실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 SK 텔레콤의 최저 보장 속도 측정 방법 SK의 경우 최저 속도 측정을 30분간 5회 이상 진행하게 되..
SK, KT, U+ 관련/IPTV, 인터넷 관련
2019. 1. 20. 00: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