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엑셀엔 데이터 유효성 검사라는 매우 좋은 기능이 존재하고, 이름만 들어봐도 어떠한 조건 혹은 규칙에 의한 필터가 가능하는 게 느껴지실 겁니다. 이번 포스팅에선 조건과 규칙을 통한 목록 만들기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데이터 유효성 검사를 활용해 목록 만들기 목록을 만들고자 하는 셀 위치를 1개 선택해도 되고, 다중(여러 개)으로 선택해도 되지만, 다중 선택은 선택한 모든 영역에 동일한 목록이 생성된다는 점만 아시면 됩니다. 영역을 선택하셨다면 상단 데이터 메뉴의 데이터 유효성 검사로 이동후 데이터 유효성 검사 항목을 선택해줍니다. 데이터 유효성 창이 표시되면 제한 대상을 목록으로 변경한 후 드롭다운 표시 항목을 선택해주어야 목록처럼 표시되고, 표시할 내용이 많을 경우 세미콜론 "," 으로 구분해 작성해주시면..
시리얼번호(일련번호)등 고유한 번호를 생성할 경우, 대부분 규칙이 있기 때문에 특별한 문제는 없습니다. 하지만 예외적인 상황은 항상 발생하기 마련이죠. 중간에 삭제되거나, 추가되거나 하는 사항이 생길 경우, 시리얼 번호가 중복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는데요. 이럴 때 조건부 서식의 "중복 값" 항목을 이용해, 셀 색상을 변경할 수도 있지만, 입력이 안되도록 "데이터 유효성 검사"를 이용해 락을 걸 수도 있습니다. 이번엔 데이터 유효성을 이용한 중복 값 입력 제한을 걸어보도록 하겠습니다. 가장 먼저 중복 값 제한을 걸고자 하는 영역을 드래그로 선택합니다. 선택되지 않은 영역은 제한이 걸리지 않으니 참고 바랍니다. 메뉴의 데이터 유효성 검사로 이동 후 제한 대상을 사용자 지정으로 수정합니다. 사용자 지정이 ..
첫 번째 리스트에서 대분류 항목을 선택하고, 선택한 대분류 기준으로 중분류 리스트가 표시되고, 중분류 기준으로 소분류 기준이 표시되도록 INDIRECT 함수와 이름 정의, 데이터 유효성 검사를 활용하면 가능합니다. 고정된 리스트가 있을 때 활용하기 좋은 방법으로, 실무에서도 꽤 많이 사용되는 방법이며, 아래 내용을 참고해서 보시면 되겠습니다. INDIRECT란? INDIRECT는 문자 형식의 셀주소 값을 읽으면, 그 값의 실제 주소 내용을 가져오는 함수인데, 예를 들면 B4라는 문자를 읽을 경우 B4 셀의 내용을 가져오는 함수입니다. 전 개별로는 잘 사용하지는 않는 함수인데, 목록을 만들 때는 자주 사용하는 함수입니다. 함수 형식 : =INDIRECT(참조할 셀주소 또는 셀주소가 들어있는 실제 셀을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