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자동차 검사 기간을 놓인다면 과태료가 부과되죠. 정기 및 종합 검사 모두 해당되는데, 저는 문제 된 적 없지만 제 지인 중 과태료 납부하시는 분을 봤기 때문에 실제로 과태료가 있다는 사실을 체감하고 있습니다. 특히 일이 바쁘다 보니 놓이셨다고 하는데, 자동차 검사 기간 조회를 해두고 알림 신청도 해두면 이런 문제를 조금이나마 해결할 수 있지 안나 싶습니다

 

🔹 자동차 검사는 왜 해야 되는가?

자동차 검사는 사람으로 치면 건강 검진과 같죠. 자동차 자체 건강 상태인 오일, 타이어, 브레이크 패드 등 운행에 있어 기초적인 상태를 체크하게 되고, 더 나아가 차량 사고와 직결될 수 있는 후미등, 브레이크등 등 운전자가 놓이기 쉬운 부분까지 검사를 진행하게 됩니다.

 

이외에도 차량 개조 유무도 확인하기 때문에 기간 안에 꼭 검사할 필요가 있고, 대표적인 위험한 개조는 백색 라이트를 사용한 일명 '눈뽕' 개조가 있겠네요. 

🔹 자동차 검사 비용과 과태료 금액은?

자동차 검사는 크게 정기검사, 종합검사 무부하, 부하 검사로 구분됩니다. 사실 세부적으로 들어가면 더 다양하게 있지만, 큰 틀에선 이 정도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1. 자동차 검사 비용

경차 기준 정기 검사 비용은 17,000원이고, 소형차는 23,000원, 중형차는 26,500원, 대형차는 29,000원이 발생됩니다. 여기에 종합검사로 넘어가면 조금 더 많은 비용이 발생되는데, 시동만 걸고 테스트하는 무부하 검사보다 바퀴 회전까지 시키면서 검사하는 부하검사 비용이 훨씬 더 비쌉니다. 

 

참고로 차량 검사 주기는 승용차는 구입 후 4년 후 첫 검사 (이후 2년마다), 사업용 승용차는 구입 후 2년 후 첫 검사 (이후 1년마다), 경형 소형 승합 및 화물차량은 구입 후 1년 마다 진행해야 합니다. 아무래도 사업 차량의 검사 주기가 짧은 건 어쩔 수 없습니다.

 

▼ 자동차 전체 검사 비용 확인하기 ▼

자동차 검시 비용.png
0.12MB

 

 

2. 자동차 검사 과태료 금액은?

차량 법 관련 개정이 많았었죠. 과태료 또한 변화가 있었다는군요.

 

일단 23년 최신 기준은 검사 유효 기간 만료 후 30일 이내인 경우 4만 원을 불과하는데, 31일부터 3일 초과 시마다 2만 원을 추가로 더 내야 합니다.최대한도 금액은 60만 원이라 이 이상의 세금 폭탄은 없지만, 이 금액 또한 적은 금액이 아니니 꼭 기간 내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 자동차 검사 기간 조회 및 예약 방법

자동차 검사 기간 조회와 예약은 교통안전공단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할 수 있습니다.

 

▼ 자동차 검사 기간 조회 및 예약 바로가기 ▼

📌 교통안정공단 접속하기

 

 

공식 홈페이지 접속하신 후 자주 찾는 메뉴에서 자동차 검사 예약을 선택합니다. 해당 메뉴로 들어가시면 검사 차종 선택화면이 나오는데, 자동차 검사를 선택합니다. 만약 오토바이라면 이륜차 검사를, 버스라면 대형버스 전담 검사를 선택하면 됩니다.

 

여기엔 정기검사와 종합검사에 대해서도 간략하게 적혀있기 때문에 필요하다면 한번쯤 읽어보시는 것도 좋습니다.

 

 

약관 동의 후 자동차 차량번호와 주민등록번호 앞 6자리를 입력하고 차량 조회를 진행하면, 자동차 검사 기간에 해당된다면 다음 스텝으로 넘어갈 수 있지만 아니라면 검사 예약 화면이 표시됩니다.

 

검사 예약을 원하신다면 휴대폰 안내 신청하기를 선택하면 돼요!.

 

 

만약 검사 기간이라면 지역별 예약 가능한 감사소를 검색한 후 예약 시간과 일자를 선택하고, 대금 결제까지 완료하면 예약을 완료할 수 있습니다. 

LIST